1. 웹이란?
(1) 웹의 정의
-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 줄여서 www 또는 웹이라고 함
- 웹은 인터넷에서 운영되는 서비스 중 하나 -> 따라서 웹 자체가 인터넷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 웹을 개발하는 목적? -> 연구자들이 흩어져 있는 정보를 손쉽게 정리하고 공유하기 위함
(2) 웹의 특징
- 인터넷은 컴퓨터 네트워크망을 의미하고, 웹은 인터넷 서비스 중 하나를 의미함
- 인터넷상의 정보를 하이퍼텍스트 방식과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검색할 수 있게 해주는 정보 검색 시스템을 의미함
-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HTML 문서를 연결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함
-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3) 웹의 구조
-HTML을 중심으로 한 웹의 동작 과정
2. 네트워크
(1) 네트워크(Network)의 정의
- 사전적 의미 : 전선이나 혈관, 통로 등으로 이루어진 망형 조직
- 가장 많이 쓰이는 의미 :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망
(2)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컴퓨터 간의 연결 규격 : 프로토콜(Protocol)
- TCP/IP : 여러 프로토콜 중 가장 널리 쓰이며 인터넷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
(3)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컴퓨터 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토콜의 종류 중 한 가지
- TCP/IP 프로토콜에 기반하고 있는 것이 인터넷이다
- TCP/IP가 인터넷의 기반 프로토콜로 자리 잡은 이유? -> 하드웨어, 운영체제, 접속 매체와 관계없이 동작할 수 있는 개방형 구조이기 때문
(4) TCP/IP의 특징
- TCP/IP는 이러한 OSI 7계층을 좀 더 단순화하여 4계층으로 정의한 것임
- TCP : 데이터 흐름 관리, 데이터 정확성 확인 등의 역할을 수행함
- IP : 데이터(패킷)를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함
- TCP/IP는 개방형 구조로, 특정 운영체제나 하드웨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근거리와 원거리 모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 OSI 7계층
- 네트워킹을 위한 물리적 장비에서부터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이르는 단계까지 계층화한 것을 의미함
- 계층화를 통해 상위 레벨에서는 하위 레벨에서 구현한 내용을 모르더라도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 운영할 수 있음
* IP 주소(IP Address)
- TCP/IP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
- IP 주소는 숫자로 구성되어 있음
- '123.123.123.123'과 같이 4개로 구분되며, 10진수를 사용함
-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 범위
3. 인터넷
(1) internet과 Internet의 차이점
- internet : 내부 네트워크
- Internet : 전세계가 하나로 연결된 네트워크 -> 네트워크 인프라
- 우리가 알고 있는 웹, 이메일 등은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
(2) 인터넷 기반 서비스
- 웹 이외에도 이메일, FTP, Telnet, DNS 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 기반 서비스로는 웹이 절대적임
- 이메일은 네이버, 다음, 구글과 같은 웹 기반의 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음
(3)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 간의 통신 규약 : 프로토콜(Protocol)
- [표 1-2]의 서비스는 모두 TCP/IP를 사용하며, TCP/IP 4계층 중에서도 응용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임
- 즉 물리적인 네트워크 연결은 TCP/IP를 사용하지만, 응용 계층에서는 서비스마다 별도의 규격이 필요함
(4)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종의 출입문 : 포트(Port)
-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들을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함
- 예) 은행에서 입출금, 대출, 신용카드, 보험 등 업무에 따라 창구를 구분해놓기
- 포트와 프로토콜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상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음
(5)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 컴퓨터의 IP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를 구분해주는 주민번호와 같은 개념
- 인터넷 주소의 형태 : 호스트(컴퓨터) 이름(www) + 도메인 이름(hanbit.co.kr)
- 도메인 이름은 규칙에 따라 붙여지며, 도메인을 관리하는 기관에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해야 함
- 도메인 이름을 통한 웹 사이트 접속도 겉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내부적으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이용함
참고 및 출처
짧고 굵게 배우는 JSP 웹 프로그래밍과 스프링 프레임워크(황희정/한빛아카데미(주))
'코딩 공부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TS 툴 새 파일 만들면서 겪었던 난항(해결방법) (0) | 2022.07.11 |
---|---|
[JSP] 웹 프로그래밍의 구조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