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함수 5

[Javascript 기초] 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 - 가온 코딩

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 목차 1. 함수 선언문 vs 함수 표현식 2.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 1. 함수 선언문 vs 함수 표현식 아래 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의 예를 보자 // 함수 선언문 예 function sayHello(){ console.log('Hello'); } 이름이 없는 함수로 만들고 변수를 선언해서 함수를 할당했다. // 함수 표현식 예 let sayHello = function(){ console.log('Hello'); } 둘 다 실행, 동작 방식 모두 똑같다 차이점은 호출할 수 있는 타이밍이다. 자바스크립트는 인터프리터 언어(Interpreter languge): 순차적으로 실행되고 즉시 결과를 반환하는 프로그램 언어이다. 함수 선..

[Javascript 기초] 함수(function) - 가온 코딩

함수(function) 목차 0. 사용 이유 1. 함수의 기본 생김새 2. 지역변수 전역 변수 3. return으로 값 반환 4. 함수(function) TIP 0. 사용 이유 중복되는 코드를 함수로 지정해주면 중복작성을 하지 않고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 썼던 console, alert, confirm 은 모두 내장 함수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기본적으로 함수로 정해놓은 것이다. 함수의 기본 생김새 function sayHello(name){ console.log(`Hello, ${name}`); } sayHello(name); // Hello, name 출력 function: 함수라는 뜻 sayHello: 함수명(아무거나 가능) name: 매개변수(없을 수도 있고, 한 개, 두 개 이상일 수..

[React] 3.3.3 데이터 변환(함수형 프로그래밍의 개념) - 가온 코딩

Transforming Data(데이터 변환)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인 1. 불변성(immutability) 2. 순수성(purity) 3. 데이터 변환(transformation) 4. 고차 함수 5. 재귀(recursion) 중 3. 데이터 변환에 대해 설명하겠다. 데이터가 변경 불가능하다면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어떻게 뭘 할 수 있을까?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로 변환하는 게 전부이다. 그래서, 함수를 사용해 원본을 변경한 복사본을 만들어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렇게 순수 함수를 사용해 데이터를 변경하면, 덜 명령형인 코드가 되고 복잡도도 감소한다. 어떻게 데이터를 변환해서 다른 데이터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자바스크립트 언어 안에는 이미 그런 작업을 할 수 있..

코딩 공부/React 2022.07.25

[React] 3.3.1 불변성(함수형 프로그래밍의 개념) - 가온 코딩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인 1. 불변성(immutability) 2. 순수성(purity) 3. 데이터 변환(transformation) 4. 고차 함수 5. 재귀(recursion) 중 불변성에 대해 설명하겠다. Immutability(불변성) mutate 라는 영어 단어는 변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immutable는 변할 수 없다는 뜻이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데이터가 변할 수 없고 불변성 데이터는 결코 바뀌지 않는다. 1. Mutations 색에 평점을 메기는 함수를 만든다고 했을 때, 함수는 넘겨받은 color 객체의 rating 을 변경한다. let color_lawn = { title: "lawn", color: "#00FF00", rating: 0 } function rateColo..

코딩 공부/React 2022.07.25

[React] 3.1 함수형이란 무엇인가? - 가온 코딩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라는 개념은 1930년대에 발명된 람다 계산법(lambda calculus)이 시작이라 할 수 있다. 17세기 함수가 등장한 이래 함수는 계속해서 계산법(calculus)의 일부였다. 함수를 함수에 넘기거나 함수가 함수를 결과로 내놓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함수를 조작하고, 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반환하는 것이 가능한 복잡한 함수를 고차 함수(high order function)라고 부른다. 1930년대에 알론조 처치(Alonzo Church)는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람다 계산법을 발명하고, 고차 함수를 활용한 여러 가지 연구를 진행했다. 1950년대 말 존 맥카시(John McCarthy)는 람다 계산법에서 비롯된 개념을 활용해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들었는데, 바로 그 언어가 ..

코딩 공부/React 2022.07.25
728x90
반응형